본문 바로가기

글로벌카홈

vehicle 스토리 - DPM(Direct part making)

DPM

자동차의 위조 부품은 자동차 생산업체의 수익 및 ‘브랜드 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많은 사망자와 상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불법 위조 거래를 막기 위해 세계 각국의 정부와 자동차 업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번에는 자동차 부품의 신뢰와 추적성 관리를 위한 기술 DPM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한다.

개요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 및 지적 재산 보호를 목적으로 수많은 보호 및 위조 방지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중 ISO(국제표준화기구)는 정품 OEM 부품 확인과 위조 부품 감소를 위한 추적성 표준으로 ISO/TS16949를 개발했다. 위 표준 IATF(International Automotive Task Force)와 연계 해 생산업체가 제품을 명확히 식별하고 문서화하도록 요구하는 추적성에 관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OEM과 부품 공급업체는 다양한 추적성 기술을 이용해 품질이 가장 우수한 부품만이 차량에 장착되도록 보장하고 있으며, DPM 기술을 기존 생산공정에 구현해 이러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마킹의 종류

DPM 기술의 요건

DPM(Direct Part Marking)은 원부품에 1차원 또는 2차원 바 화학적 반응을 통해 표면을 부식시키는 에칭 방법 등이 있다. 코드를 직접 인쇄하는 기술이다. 우수한 DPM 기술은 아래의 핵심 요건 두 가지를 만족하여야 한다.
우선, DPM 기술은 높은 내구성과 내후성을 가져야만 한다. 부품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오랜 시간 동안 명확한 식별이 가
능해야 한다. 이 것은 차량이 운행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조건 어디에서나 차이 없이 유지되어야만 한다. 둘째, DPM 기술은 범용성을 가져야 한다. 자동차에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금속, 목재와 가죽, 유리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므로 자동차 부품 제조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재질에 인쇄했을 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DPM 기술의 종류

DPM 기술에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는데 각각의 소재별 특 징과 장착 위치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게 된다. 소재의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방식의 잉크젯 마킹은 내구성이 약하지만 폭넓은 소재에 사용이 가능하며,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품 표면에 각인을 하는 레이저 마킹은 내구성이 뛰어나 실외 플라스틱 소재 부품에 많이 적용된다. 이 밖에도 금속소재에 많이 사용되는 도트 핀 마킹과 유리 등 소재를 전기 및 화학적 반응을 통해 표면을 부식시키는 에칭 방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