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카홈

자동차 이슈 - 전자파 적합성 알아보기

전자파 정합성

자동차 내/외의 통신이 증가하면서 신호를 정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장품 개발 시 전자파 적합성, 즉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LITY)의 중요도도 증가하고 있다. 전자 부품 전문 업체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회사에게 EMC는 중요한 이슈이다. 이번에는 EMC의 정확한 정의와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EMC의 정의

EMC란 기기 외부로 불필요한 전자파를 최소한 방출하여 다른 기기에 전자파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외부로부터 전자파 간섭에 영향을 받아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크게 EMI와 EMS로 나눌 수 있다.

EMI의 정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는 전자파 방해 혹은 간섭으로 정상적인 신호 발생/ 전달 등의 과정에서 방사또 는 전도되는 전자파가 다른 기기의 기능에 장해를 주는 것으로 회로 기능을 악화시키고, 기기가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불필요한 신호라고 할 수 있다.(RE : Radiated Emission), (CE : Conducted Emission)

EMS의 정의

EMC(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는 전자파 감수성 또는 내성으로, 기기가 외부로부터 전자파 간섭을 받을때 영향을 받는 정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자파에 대한 반응의 민감성을 나타낸다. 정확히 말하면 전자파 간섭으로부터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인 immunity(내성)과는 반대 개념이지만, 일반적으로 동일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고, 크게 RS, CS로 나눌 수 있다.

CE : Conducted Emission(전도방출)

: 전선 등 매질을 통해서 전달되는 전자파를 잡는다.

RE : Radiated Emission(방사 방출)

: 대기를 통해 방사되어 전달되는 전자파를 잡는다.

CS : Conducted Susceptibility/immunity(전도 내성)

: 외부 케이블 등을 통해서 들어오는 전자파 간섭에 견디는 정도이다.

RS : Radiated Susceptibility(방사 내성)

: 자유 공간으로부터 전파되어 들어오는 전자파 간섭이 견디는 정도이다.

신뢰성 평가팀은 EMC 시험과 관련하여 전자파 차폐 챔버, ESD(Electrostaric Discharge) 건, Artificiial네트워크 등의 시설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타 기관으로의 시험의뢰 비용절감 효과를 얻고 있으며, 국제 공인 시험기관으로 kolas인증을 획득하기 위하여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