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6)
자동차 정보 이슈 - 알루미늄 차체 자동차의 친환경화, 전자화, 고연비화 등 시장 요구의 변화는 이제 자동차 업계의 트렌드를 넘어 일반상식이 되어가고 있다. 경신 또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기술 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자동차 연비 향상을 위한 완성차의 알루미늄 차체 확산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알루미늄 차체 확산 추세 알루미늄 차체는 이미 십 수년 전에 개발되어 BMW,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 등 유럽 자동차 업계를 중심으로 일부 고급 모델의 차체에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알루미늄의 높은 단가와 접합(용접)에의 문제 등으로 아직까지 그 확산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최근 들어, 차량 경량화를 위한 비철금속 활용이 활발해진 이유는 연비 절감과 환경보호를 위한 세계 각국의 각종 규제와 독려, 그리고 업체 간의 경..
자동차 이슈 이야기 -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GW: Gateway)는 지난번에 한번 소객 한 적이 있다. 이 차량 낸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인 게이트웨이는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기이다 최근 양산된 제네시스에서는 기존의 스마트 정션 블록(smart junction block)에 게이트웨이를 통합하여 igpm(integrated Gateway and Power control Module)의 형태로 모듈화 되어 탑재되었다. 이번 호에서는 더 향상 된 게이트웨이의 개념과 기능, 효과 등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게이트웨이의 개념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상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혹은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예를 들면 해외여행을 할 때, 해외로 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공항이나 다양한 언..
차량 정보 이슈 -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이나 사이드 미러 등을 확인하는 정상적인 운전 중에 발생하는 1~2초 남짓의 전방 주시 태만도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주행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운전자의 주의 분산 없이 획득할 수 있게 해주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주행 안전성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는 제품이다. 이번 호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역사 최초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 이하 HUD)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전투기 파일럿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고 안된 장치이다. 이런 장치가 2004년 5세대 BMW 5 시리즈에 처음 적용되면서 자동차로 영역을 넓혔다. 국산차 가운데서는 2012년 출시된 기아의 프래그쉽 K9에 윈드쉴드에 직접상이 맺히는 형태로 ..